상인 관계의 재검토~이웃 사용권

부채로 인한 고통이 깊을수록, 법이 제공하는 재기의 기회는 더욱 가치 있습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5회 작성일 25-08-03 19:18

본문

1 소개

개정 전의 민법 209조는 “ 토지의 소유자는, 경계 또는 그 부근에 있어서 장벽 또는 건물을 축조 또는 수선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이웃의 사용을 청구할 수 있다. 단, 이웃의 승낙이 없으면, 그 주택에 들어갈 수 없다.”로 하고 있었습니다 (1항).


 

이하에서는, 민법 209조의 개정 내용에 대해 설명해 갑니다.


 

2 목적의 확충

개정 전은 이웃지 사용의 목적에 대해 「장벽 또는 건물을 축조 또는 수선하기 위해」로 하고, 축조 또는 수선의 대상을 장벽과 건물에 한정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개정법에서는 장벽과 건물에 한정하지 않고 「그 외의 공작물」도 포함되게 되었습니다(209조 1항 1호).


 

또, 개정전은 장벽등의 「축조」나 「수선」에 한정되어 있었습니다만, 「수거」도 포함되게 되었습니다(209조 1항 1호).


 

게다가 이웃지 사용의 목적에 대해서 명문화되고 있던 것은, 경계에서의 장벽 등의 축조 등에 대해서만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개정법에서는, 이웃지 사용의 필요성이 있는 「경계표의 조사 또는 경계에 관한 측량」(2호), 「제233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한 가지의 절취」(3호)도 더하기로 했습니다.


 

3 사용 형태

개정 전은 이웃지 사용시의 사용 형태에 대해서 룰은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이웃지 사용에 의해 이웃지 소유자등의 권리가 제한되게 되므로, 그 제한은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거기서, 개정법에서는, 이웃지 사용자는, 이웃지의 사용의 일시, 장소 및 방법은, 이웃지 소유자등을 위해 손해가 가장 적은 것을 선택해야 하는 것으로 되었습니다(민법 209조 2항).


 

또, 개정법에서는 민법 209조 2항의 규정을 받고, 이웃지 소유자등이 이웃지 사용권의 행사에 대한 준비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이웃지 사용자는 「미리, 그 목적, 일시, 장소 및 방법을 이웃지의 소유자 및 이웃지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의무가 부과되게 되었습니다(민법 209조 3항


 

그리고, 「미리 통지하는 것이 곤란할 때」는, 일정한 목적을 위해 일시적으로 이웃이 사용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사전 통지 의무를 해제하기로 하고, 다른 한편으로 그 경우에서도 이웃 소유자 등에 일정한 영향이 있는 것은 확실하기 때문에, 이웃 사용자에게 「사용을 개시한 후, 지체없이, 통지」하기로 했습니다(2)


 

4 상금

개정법에서는 「제1항의 경우에 있어서, 이웃지의 소유자 또는 이웃지 사용자가 손해를 받았을 때는, 그 상금을 청구할 수 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민법 209조 4항). 이것은 개정 전과 다르지 않습니다.